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10 [Docker] Docker 시작하기 Docker 설치하기 먼저 Docker를 설치하기 위해 다음 홈페이지의 설명을 따라 설치했습니다. https://docs.docker.com/engine/install/ubuntu/ Install Docker Engine on Ubuntu docs.docker.com 제가 사용한 환경은 Ubuntu 20.04.02 LTS입니다. 위에 게시한 사이트에서 설치하기 전에 버전은 다음과 같아야 한다고 합니다. 버전 확인은 다음과 같은 명령어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cat /etc/os-release Docker 공식 문서에서 요구하는 버전과 적합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음 명령어를 입력해 설치 환경을 설정해 줍니다. $ sudo apt-get update $ sudo apt-get upgrade 다음.. 2021. 6. 10. [네트워크] WAS vs Web Server Web Server Web 인터넷으로 연결되어 사람들이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공간을 말합니다. URL은 주소, HTTP는 통신 규칙, HTML은 정보/데이터입니다. Server Server는 client가 네트워크를 통해 보낸 요청을 바탕으로 정보나 서비스를 응답으로 제공하는 컴퓨터 시스템입니다. Web Server Web Server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Client에게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터입니다. Client는 URL을 기반으로 HTTP규칙에 따라 원하는 정보를 요청합니다. Server는 Client의 요청을 기다리다가, 요청에 대한 데이터를 만들어서 응답으로 전달합니다. 이때 만들어 전달하는 데이터는 정적인 데이터(HTML, CSS 등)만 전달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구구단을 출력하는 요청을.. 2021. 6. 1. [네트워크] RESTful API 란? RESTful API RESTful API란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의 약자로 REST아키텍처를 만족하는 API입니다. REST 아키텍쳐 Client-server Stateless Cache Uniform Interface Layered System Code-on-demand 이를 좀 더 쉽게 말하면 다음과 같이 말할 수 있습니다. RESTful API는 기계와 기계가 HTTP로 통신할 때 리소스는 URI로, 행위는 Method로, 결과는 응답 코드로 통신한다. 즉, RESTful API는 기계과 기계가 소통할 때 사용하는 일종의 규약이다. REST 한 방식은, 기존의 SOAP방식을 대체한 것입니다. 리소스를 URI로 표현하자 다음과 같은 URI를 보면 몇 가지 사실을 유.. 2021. 5. 31. [개발 공부] Twitter 따라 만들기 #3 - Main Layout 수정하기 Main Layout 수정하기 저번 포스팅까지 프로젝트를 생성하고, 프로젝트의 구조를 파헤쳐 봤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Twitter를 만들기 위한 Main Layout을 수정할 것입니다. Main Layout을 수정하기 위해 Quasar Framework 홈 페이지의 Layout Builder를 사용하겠습니다. 먼저 Quasar 공식 홈페이지에서 [Layout and Grid]의 [Layout Builder]를 선택합니다. Layout Builder를 찾았으면 다음과 같은 단계로 레이아웃을 구성해 주면 됩니다. Twitter와 비슷한 레이아웃을 설정해 주기 위해 Footer와 Navigation Tab을 비활성화해줍니다. 양쪽 bar를 다음과 같이 설정해 줍니다. Header부분의 그림자를 없애기 위.. 2021. 5. 21. [개발 공부] Twitter 따라 만들기 #2 - 프로젝트 구조 파헤치기 파일 구조 알아보기 이전 포스팅에서 Quasar Framework로 twitter 앱 프로젝트를 생성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생성한 프로젝트의 파일 구조 및 폴더들을 살펴보겠습니다. Quasar Framework으로 프로젝트를 자동으로 생성하니 다음과 같은 파일 구조가 생성됐습니다. quasar.conf.js : Quasar 프로젝트의 환경 설정 파일입니다. 라이브러리, vue router history mode, 플러그인들, ssr, pwa, electron 등등 설정을 하는 파일입니다. 다음은 src 폴더 안에 있는 index.template.html 파일입니다. index.template.html 파일은 대부분 수정할 일이 없으며, q-app은 App.vue파일을 출력합니다. 다음은 index... 2021. 5. 21. [개발 공부] Twitter 따라 만들기 #1 - 프로젝트 생성 Quasar Framework Quasar Framework는 Vue.js기반의 오픈소스 프레임워크입니다. Quasar Framework를 사용하면 빠르게 반응형 웹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Quasar의 다양한 기능입니다. Quasar 공식 문서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SPAs (Single Page App) SSR (Server-side Renedered App) (+ optional PWA client takeover) PWAs (Progressive Web App) BEX (Browser Extension) Mobile Apps (Android, iOS,...) through Cordova or Capacitor Multi-platform Desktops Apps (using .. 2021. 5. 21. [Spring] Spring VS Spring Boot 차이점 Spring Framework Spring은 Java 기반의 오픈소스 Back-end 프레임워크입니다. 다음은 Spring 공식 문서의 일부분으로 Spring이 왜 Spring으로 불리는지 설명한 부분입니다. Whatever happened next, the framework needed a name. In the book it was referred to as the “Interface21 framework” (at that point it used com.interface21 package names), but that was not a name to inspire a community. Fortunately Yann stepped up with a suggestion: “Spring”. His re.. 2021. 5. 21. [Docker] Docker 란? 도커(Docker)의 탄생 배경 최근 들어 소프트웨어 개발을 할 때 서버를 직접 서버 부품들을 사고, 서버 설정을 하고, 계속 가동해서 서버를 구성하는 시스템보다, 클라우드 서비스에서 몇 번의 클릭으로 원하는 사양의 서버를 구매해 사용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하나의 소프트웨어에 필요한 서버가 많은 경우도 있습니다. 클라우드 서비스에서 서버 1개~2개를 구매해 사용해서 설정한다면 무리가 없지만, 서버를 여러 대 구매해서 사용하는 경우 서버의 환경을 모두 일일이 설정해주는 것은 쉽지 않은 일입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Immutable Structure가 탄생했습니다. Immutable Structure는 변하지 않는 구조라는 뜻으로 호스트 OS와 서비스 운영 환경을 분리해 한번 설정하고 변.. 2021. 5. 20. [알고리즘] 다익스트라(Dijkstra) 알고리즘 다익스트라(Dijkstra) 알고리즘 다익스트라 알고리즘은 방향/무방향 그래프에서 하나의 시작점에서 모든 정점까지의 최단 거리를 구해주는 알고리즘입니다. 주의할 사항은 방향/무방향 그래프에서 간선의 가중치가 양수여야만 합니다. 음수인 경우 시작점에서 거리가 가까운 정점을 구하고 탐색을 이어나가다가 음수 간선을 마주치면 거리가 줄어들 수 있어서 알고리즘이 불완전하게 됩니다. 다익스트라는 다이내믹 프로그래밍(Dynamic Programming)을 적용한 탐색 알고리즘이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A에서 F까지 가는 최단 거리의 경로가 A → B → C → D → E → F 라고 합시다. 그럼 이 경로에 포함되어있는 모든 부분 경로는 최단 거리입니다. A부터 E까지의 최단 거리 경로인 A → B → C → D →.. 2021. 5. 14. [BOJ 1918] 후위 표기식 (C++) https://www.acmicpc.net/problem/1918 1918번: 후위 표기식 첫째 줄에 중위 표기식이 주어진다. 단 이 수식의 피연산자는 A~Z의 문자로 이루어지며 수식에서 한 번씩만 등장한다. 그리고 -A+B와 같이 -가 가장 앞에 오거나 AB와 같이 *가 생략되는 등의 수식 www.acmicpc.net 구현 방법 후위 표기법, 중위 표기법, 전위 표기법 간의 변환은 대표적으로 스택으로 해결할 수 있는 문제들입니다. 중위 표기식으로 주어진 입력을 후위 표기식으로 변환해주는 코드를 자료구조 시간에 구현해봤는데, 이 문제를 보니 막상 기억이 안 나서 다시 공부해 포스팅해보려 합니다. 일단 중위 표기식을 후위 표기식으로 바꾸는 알고리즘은 다음과 같습니다. 문자의 경우 바로 출력해준다. 연산자 .. 2021. 5. 13. 이전 1 2 3 4 5 6 7 8 ··· 11 다음 반응형